반응형

국립국어원 5

[❤️ㄱ~ㅁ❤️] '그닥'과 '그다지'의 바른 표현

28'그닥'과 '그다지'의 바른 표현◦그닥 예쁘지 않네 ◦그다지 예쁘지 않네옳은 표현은 '그다지' 입니다.'별로 그렇게까지'라는 의미인 '그다지'는 '그닥'으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질문1Q84라는 책을 읽다가 '그닥'이란 말을 봤습니다. 그 전에도 종종 보던 말인데 문득 이게 표준어가 맞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원래 '그다지'라는 표현이 인터넷에서 '그닥'으로 잘못 사용되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 확실히 알려 주세요.답변'그닥'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그러한 정도로는 또는 그렇게까지는"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는 "그다지 예쁘지는 않다./그다지 달갑지 않다./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와 같이 쓰이는 '그다지'입니다. 인터넷상에서 '그러한 정도로는 또는 그렇게까지는'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그다지'를 ..

[❤️ㄱ~ㅁ❤️] '개수'와 '갯수'의 바른 표현

10'개수'와 '갯수'의 바른 표현'개수'가 옳은 표현입니다.사이시옷인데요.'한자어 + 순우리말' 또는 '순우리말 + 순우리말' 일 때 사이시옷을 씁니다.하지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의 경우 딱 여섯 개만 국립국어원에서 사이시옷을 사용하라고 결정했습니다.◦ 곳간 / 셋방 / 숫자 / 찻간 / 툇간 / 횟수 질문오늘 작문 시간에 맞춤법에 대해서 배우다가 '개수'와 '갯수'에 대한 논란이 생겼습니다. 반 아이들은 최댓값, 최솟값처럼 갯수도 맞춤법이 바뀌었다고 하였고, 선생님께서는 개수가 맞다고 하셨는데요, 어떤 게 맞는 건가요?답변합성어로 볼 수 있는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관련 규정: '한..

[❤️ㄱ~ㅁ❤️] '강팍하다'와 '강퍅하다'의 바른 표현

07'강팍하다'와 '강퍅하다'의 바른 표현'강퍅하다'는 '성격이 까다롭고 고집이 세다.'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입니다.'괴퍅하다'는 모음이 단순화한 '괴팍하다'를 표준어로 삼습니다. 질문오장환의 시, '성묘하러 가는 길'에 나온 어휘 중에서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없는 어휘가 있습니다.'솔잎이 모다 타는 칙한 더위에 아버님 산소로 가는 산길은 붉은 흙이 옷에 배는 강팍한 땅이었노라.' 여기서 '칙한'과 '강팍한'의 의미가 표준국어대사전에 검색해도 없더라고요. 방언인 것 같은데,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방언도 수록되지 않나요?답변'강팍한'은 '강퍅하다'의 관형사형으로서 성격이 까다롭고 고집이 세다는 의미를 지닙니다.'칙하다'는 정확한 어원은 알기는 어려우나 문맥상 '강렬한, 심한, 거친' 정도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ㄱ~ㅁ❤️] '감질', '감질맛', '감칠맛'의 바른 표현

05 '감질', '감질맛', '감칠맛'의 바른 표현 '감질'은' 바라는 정도에 아주 못 미쳐 애타는 마음'을 뜻합니다. '감칠맛'은 '음식물이 입에 당기는 맛'을 뜻합니다. 질문 '감질이 나다', '감칠맛나게', '감질맛 난다'등의 표현에서 올바르지 못한 표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그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도 알고 싶어요. 답변 '감질'은 '바라는 정도에 아주 못 미쳐 애타는 마음'을 뜻하는 말로, '감질이 나다/아이는 감질이 올라서 닿을락 말락 하는 밥그릇을 붙들려고 애를 쓴다.'와 같이 쓰입니다. 그리고 '감칠맛'은 '음식물이 입에 당기는 맛'을 뜻하는 말로, '감칠맛이 나다/혀끝에 감칠맛이 돌다/술이 감칠맛이 있다./재료는 별것이 아니었으나 그가 갖다 주는 음식은 언제나 맛깔스럽고 간이 맞고 감..

[❤️ㄱ~ㅁ❤️] '가던지 말던지'와 '가든지 말든지'의 바른 표현

02'가던지 말던지'와 '가든지 말든지'의 바른 표현'-든지'는 현재의 상태에서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또는 어미로서,'현재의 상태에서 가거나 가지 않거나'를 선택하는 표현으로는 '-든지'를 사용합니다.질문'가든지 말든지'처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은 압니다만,저는 보통 '가든가 말든가'와 같이 말하는데요, 이것은 표준어가 아닙니까?답변'가든가 말든가'라고 말하는 것도 '가든지 말든지'처럼 표준어입니다. [표준어] 제17항에서는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규정하면서 과거를 회상하는 어미 '-더'가 결합한 여러 가지 형태의 어미들, 곧 '-던, -던가, -던걸, -..

반응형